Unrest Spreads, Some Violently, in Middle East
Governments appeared to flounder on just how to outrun mostly peaceful movements spreading through the Mideast.
튀니지와 이집트의 정권이 바뀌고 나서도 중동지역의 반정부 시위가 계속 확산되고 있다. 한 달 전만 해도 누구도 이렇게 시위가 커질거라고는 예상하지 못 했을텐데 political risk가 얼마나 예측하기 어려운지 잘 보여주는 사건인 듯 하다. 그나마 해당 국가들이 글로벌 경제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 국가들은 아니다 보니 세계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좀 작달까. 이머징마켓에서 돈이 빠져 나가는 거는 좀 관련이 있는 거 같긴 하지만...
남부 유럽 국가들은 default risk에 시달리고 중동국가들은 political risk에 시달리고 있는 걸 보니 1929년 시작된 대공황 생각이 안 날 수가 없다. 중동지역 국가들의 소요사태는 원자재 가격 상승, 특히 곡물가격 상승이 어느 정도 원인인 거 같은데, 이건 일정 부분은 경제부양 때문에 미국에서 찍어내고 있는 달러랑 연관이 되어 있으니. 불경기가 오면 못 사는 사람들이 더 힘들다는 건 글로벌 경제에서도 마찬가지인 모양.
Risk가 있으면 이걸 측정하고 계량화 시키는 사람들도 있기 마련인데, 아래는 위키피디아에서 찾은 관련 내용.
Research has shown that macro-level indicators can be quantified and modeled like other types of risk. For example, Eurasia Group produces a political risk index which incorporates four distinct categories of sub-risk into a calculation of macro-level political stability. This Global Political Risk Index can be found in publications like The Economist.[6] Other companies which offer publications on macro-level political risk include Exclusive Analysis and Economist Intelligence Unit.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