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으로 봐서는, 실적이 신통찮았다는 분석입니다.
지수 투자의 경우 roll-over를 하면서 엄청난 비용을 물게되고,
원자재는 주식이나 채권과 달리 보유하고 있는 동안 재투자가 가능한 소득발생이 전혀 없으며,
장기적으로 상품의 가격은 결국 생산비용으로 수렴되기 때문이라고 하네요.
쉽게 채굴가능한 자원의 고갈, 중국이라는 새로운 수요처의 등장으로
시장구조가 바뀌었다는 주장이 있지만 이 역시 새로울 것은 없다는 분석입니다.
1950년대의 원자재 가격 상승시에는 전후 경제복구라는 논리가 있었고
1970년대의 가격 상승은 해양시추 기술 등 새로운 기술 발전으로 이어졌었죠.
이제는 Sand oil 차례가 될련가요?
원자재는 원시적인 사회일 수록 더 높은 가치로 평가된다는 충고가 따끔합니다.
Long-term performance of commodities not improving
By Peter Tasker
Published: June 9 2010 16:35 | Last updated: June 9 2010 16:35
Di-worsification
is what you do when you invest in mediocre assets for a mediocre reason
– for example, because a statistical model has told you they reduce
risk. Thanks to the boom in commodities during the past decade, these
have become a favoured choice for di-worsifying institutions
everywhere. The profusion of funds and exchange-traded funds, indices
and brokerage coverage has made commodities unprecedentedly easy to
access for individuals too. However, the long-term performance of
commodities is pathetic, and there is little reason to believe that
this time is different.
댓글 없음:
댓글 쓰기